문자열과 관련된 작업은 일상 업무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이들 함수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실제로 사용되는 함수는 몇 개 되지 않습니다.
문자변형 관련 함수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SUBTR 함수로서 이용하여 문자열의 일부를 추출하는데 사용합니다.
또한 문자열의 빈칸을 제거하는 함수 TRIM, LEFT 또는 RIGHT 도 종종 유용하게 쓰입니다.
함 수 명 |
기 능 |
BYTE(n) |
n에 해당되는 ASCII 코드를 리턴합니다 |
CATX |
다수의 문자열을 연결할 때 사용 |
COMPRESS |
문자변수의 일부를 제거할 때 이 |
FIND |
source에서 찾는 문자의 위치를 리턴 |
INDEX(source,찾는문자) |
source에서 찾는 문자의 위치를 리턴합니다. |
INDEXC(source,찾는문자1,찾는문자2...,) |
source에서 찾는 문자 위치를 리턴합니다. |
LEFT(argument) |
왼쪽의 빈칸을 제거 |
LENGTH(argument) |
인수로 주어진 변수의 길이를 계산한다 |
LOWCASE(argument) |
대문자를 소문자로 변환. |
PROPCASE |
단어들의 첫 글짜만 대문자로 변환 |
RANK(argument) |
문자의 ASCII 코드를 반환합니다. |
REVERSE(argument) |
문자의 내용을 거꾸로 배열한다 |
RIGHT(argument) |
오른쪽의 빈칸을 제거 |
SCAN |
문자열을 단어별로 분리 |
SUBSTR |
문자에서의 일부를 추출 |
TRANWRD(source,원래 문자,새로운문자) |
source에서 특정 문자 열을 바꾸고자 할때 |
TRIM |
문자열에서 필요없는 공백을 제거 |
UPCASE(argument) |
소문자를 대문자로변환 |
/*---------------------------------------------------------------------*/
/* 문자관련 함수의 예 - 08_character.sas */
/* --------------------------------------------------------------------*/
1 DATA a1;
2 bbb=BYTE(65); /* bbb에는 문자 A 가 저장 */
3 ccc="안녕 하세요"; /* 안녕 하세요 가운데 빈칸이 하나 있다 */
4 nccc=COMPRESS(ccc,' '); /* 빈칸이 없어진다 */
5 size1=LENGTH(ccc); /* 길이가 11; 한글 5글짜에 빈칸 하나 */
6 size2=LENGTH(nccc); /* 빈칸이 없어졌으므로 길이가 10 */
7 size3=LENGTH(bbb); /* 길이가 1 */
8 large=UPCASE('Good Morning'); /* GOOD MORNING 으로 바뀜 */
9 small=LOWCASE('Good Morning'); /* good morning 으로 바뀜 */
10 str=SUBSTR(large,2,4); /* 변수 large의 2번째부터 4문자를 선택 */
11 PROC PRINT;
12 RUN;
'R연습 200제 > 07_00. (R)날짜&문자다루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R)제8강 8.4 정규표현식(이메일 체크 추가 ^^^ ) (0) | 2020.10.22 |
---|---|
(R,S)제8강 8.1 날짜다루기(SAS와 R 비교) (0) | 2020.10.19 |
8.2 날짜형 관련 FORMAT 문의 여러가지 형태(SAS 경우) (0) | 2020.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