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AS강좌와 통계컨설팅 - 통계편/16_00. 평균에 대한 분석2

(S)제15강(01)_통계적 가설검정 통계적 가설검정(statitical hypothesis test)은 통계적 추측의 하나로서, 모집단의 모수(parameter)의 값이 얼마가 된다는 주장과 관련해, 표본의 정보를 사용해서 가설의 합당성 여부를 판정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위키백과 참조). 가설검정의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귀무가설과 대립가설 설정한다 2. 검정의 유의수준을 결정한다 3. 표본으로부터 검정통계량 계산한다 4. 검정통계량에 해당되는 p 값을 계산한다. 5. 가설에 대한 결론을 내린다. 1. 귀무가설과 대립가설 귀무가설(Null Hypothesis)은 일반적으로 과거의 이론이나 경험적으로 참이라고 믿어지지만 검정해야 하는 가설이며, 대립가설은 귀무가설이 참이 아닌 경우, 참이라고 믿어지는 가설을 말합니다. 귀무가설은 Ho .. 2021. 12. 16.
(S)제15강(00)_평균에 대한 분석 목차 15.1 통계적 가설검정 515 15.1.1 귀무가설과 대립가설 515 15.1.2 제1종 오류와 제2종 오류 516 15.1.3 기각역과 P 값 516 15.2 모평균에 대한 가설검정 517 15.2.1 모분산을 아는 경우 517 15.2.2 모분산을 모르는 경우 520 15.3 두 모평균의 차이에 대한 가설검정 522 15.3.1 두 모평균 분산을 모르는 경우 526 15.3.2 두 모집단의 분산이 같은 경우 526 15.3.3 두 모집단의 분산이 다른 경우 529 15.4 대응표본의 가설검정 532 15.5 모비율에 대한 가설검정 534 15.6 두 모비율에 대한 가설검정 535 15.7 R 프로그램 537 2021. 12.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