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S강좌와 통계컨설팅 - 통계편58 (S)제29강(00)_시계열분석 (목차) 시계열분석의 목차입니다.. SAS에서는 SAS/ETS 라는 시계열분석을 위한 제품이 있습니다. 시계열분석에 많이 사용되는 ARIMA 분석을 위해 프로시져 ARIAMA 를 사용하면 됩니다. R에서는 ts패키지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29.1 시계열분석(Time Series Analysis) 이란? 29.1.1 예측평가 지표 29.1.2 이동평균법(Moving Avearage) 29.1.3 지수평활법(Exponential Smoothing) 29.2 자동상관계수와 편자동상관계수 29.2.1 자동상관계수 29.2.2 편자동상관계수 29.3 ARIMA 모형 29.3.1 자동회귀모형(Auto-Regression) 29.3.2 이동평균모형(Moving-Average) 29.3.3 자동회귀이동평균모형(ARMA) 29... 2021. 12. 28. (S)제28강(01)_군집분석이란? 군집분석(Cluster Analysis)은 관측 대상들 간에 어떤 공통 특징을 찾아 비슷한 특징을 갖는 관측치들 끼리 군집(Cluster)을 형성하는 방법입니다. 서로 상사성(Similarity)이 높은 관측치(객체)들은 같은 군집으로 묶고, 상대적 상사성이 낮은 객체들은 서로 다른 군집으로 묶습니다. 예를 들어 10명을 대상으로 키, 몸무게 등 여러 가지 신체특성을 측정하여 비슷한 신체특성을 갖는 사람들끼리 3 또는 4개의 군집을 구성하여, 각 군집별로 그 군집이 갖는 특유한 성질 즉 키가 크고 몸무게도 큰 군집, 키는 크고 몸무게는 작은 군집 등의 성질을 찾아내는 데 이용됩니다. 군집을 형성하는 과정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습니다. ▇ 병합적 방법 관측대상 각자를 하나의 별개의 군집으로 생각하여 관.. 2021. 12. 28. (S)제28강(00)_군집분석 목차 28.1 군집분석이란 ? https://rsas.tistory.com/508 28.2 군집분석 실습 https://rsas.tistory.com/472 28.3 거리 측정 28.4 군집화하는 방법 28.4.1 최단연결법 Single Linkage Method 28.4.2 최장연결법 28.4.3 평균연결법 28.4.4 중심연결법 28.4.5 WARD 방법 28.5 K-Means 병합적 군집방법 28.6 PROC CLUSTER와 TREE의 형태 28.6.1 PROC CLUSTER 의 형태 28.6.2 PROC TREE의 형태 28.6.3 도움말 이용하기 28.7 R 프로그램 – 군집분석 2021. 12. 28. (R)제29강(01)시계열분석이란 무엇인가? 참으로 오래전에 시계열분석을 했었습니다. 30여년전의 일입니다. 이 당시에는 시계열분석에 대하여 아는 사람들이 많지 않았습니다. 그 유명한 Box와 Jenkins가 쓴 Time Series 책을 대학원과정에서 공부를 하긴 했지만... 초창기인지라 ARMA 에 대하여 열심히 파고 들었던 기억이 납니다. /제가 쓴 "SAS강좌와 통계컨설팅"에도 마지막 장인 30장에 시계열분석을 넣기도 했습니다. 시계열 분석 프로젝트는 2번 정도 밖에 하지 않았습니다. ARIMA를 많이 사용했지만 저는 ARIMA 모형으로 인한 예측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ARIMA를 이용하여 모델링을 하고 모델결과를 가지고 과거자료와 fitting 을 하면 엄청 잘 맞아 떨어집니다. 가끔 (아니 현실에서는 대부분) 모형은 그럴 듯 해 .. 2021. 12. 27. (R)제29강(02)_시계열 데이터 만들기 벡터를 이용하여 시계열 데이터를 직접 만들어 보자. 시계열 데이터를 만들 때에는 ts(time series) 객체를 이용한다. #=== 3. 시계열분석 데이터 만들기 - ts() # (1) ts() 함수 사용 vect01 2021. 12. 27. (R)제29(02)_시계열분석 실습(R로 해 보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가 있습니다. 그냥(?) 60개의 데이터입니다. 이것은 그냥 단순한 60개의 데이터입니다. 향후 10개의 데이터를 예측해 보기로 합니다. 그런데 60개이니까, 혹시 12개월 5년 치 데이터가 아닐까? 하며 월별 데이터로도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그럴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아무런 의미도 없는 그냥 단순한 데이터인데, 뜬금없이 60개니까 월별(^) 데이터로 한정하는 것은 때로는 잘못된 경우가 되기도 합니다. 644 546 515 506 468 729 719 626 677 679 654 630 662 539 419 592 376 390 292 340 457 254 368 376 254 85 198 212 262 368 554 538 478 623 522 404 360 61.. 2021. 12. 27. 이전 1 2 3 4 ···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