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통계적 가설검정(statitical hypothesis test)은 통계적 추측의 하나로서, 모집단의 모수(parameter)의 값이 얼마가 된다는 주장과 관련해, 표본의 정보를 사용해서 가설의 합당성 여부를 판정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위키백과 참조). 가설검정의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귀무가설과 대립가설 설정한다

2. 검정의 유의수준을 결정한다

3. 표본으로부터 검정통계량 계산한다

4. 검정통계량에 해당되는 p 값을 계산한다.

5. 가설에 대한 결론을 내린다.

 

1. 귀무가설과 대립가설

귀무가설(Null Hypothesis)은 일반적으로 과거의 이론이나 경험적으로 참이라고 믿어지지만 검정해야 하는 가설이며, 대립가설은 귀무가설이 참이 아닌 경우, 참이라고 믿어지는 가설을 말합니다. 귀무가설은 Ho 로 표시하며, 대립가설은 H1

으로 표시합니다.

예들 들어 학생들의 평균키가 165cm 임을 검정하고자 하는 경우

 Ho: u = 165

 H1: u ^= 165

 

이렇게 대립가설을 양쪽 방향으로 설정하였을 때 양측검정이라고 합니다. 만약 학생들의 평균키가 165 cm 보다 크다는 것을 검정하고자 할 때에는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설정하게 됩니다.

 Ho: u = 165

 H1: u  > 165

  

이렇게 대립가설을 한 쪽 방향으로 설정하였을 때 단측검정이라고 합니다. 가설을 검정할 때에는 표본자료에서 구한 통계량을 가지고 검정하게 되는데, 이 때 표본에서 구한 통계량을 검정통계량이라고 합니다.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