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계열분석8

(S)제29강(00)_시계열분석 (목차) 시계열분석의 목차입니다.. SAS에서는 SAS/ETS 라는 시계열분석을 위한 제품이 있습니다. 시계열분석에 많이 사용되는 ARIMA 분석을 위해 프로시져 ARIAMA 를 사용하면 됩니다. R에서는 ts패키지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29.1 시계열분석(Time Series Analysis) 이란? 29.1.1 예측평가 지표 29.1.2 이동평균법(Moving Avearage) 29.1.3 지수평활법(Exponential Smoothing) 29.2 자동상관계수와 편자동상관계수 29.2.1 자동상관계수 29.2.2 편자동상관계수 29.3 ARIMA 모형 29.3.1 자동회귀모형(Auto-Regression) 29.3.2 이동평균모형(Moving-Average) 29.3.3 자동회귀이동평균모형(ARMA) 29... 2021. 12. 28.
(R)제29강(01)시계열분석이란 무엇인가? 참으로 오래전에 시계열분석을 했었습니다. 30여년전의 일입니다. 이 당시에는 시계열분석에 대하여 아는 사람들이 많지 않았습니다. 그 유명한 Box와 Jenkins가 쓴 Time Series 책을 대학원과정에서 공부를 하긴 했지만... 초창기인지라 ARMA 에 대하여 열심히 파고 들었던 기억이 납니다. /제가 쓴 "SAS강좌와 통계컨설팅"에도 마지막 장인 30장에 시계열분석을 넣기도 했습니다. 시계열 분석 프로젝트는 2번 정도 밖에 하지 않았습니다. ARIMA를 많이 사용했지만 저는 ARIMA 모형으로 인한 예측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ARIMA를 이용하여 모델링을 하고 모델결과를 가지고 과거자료와 fitting 을 하면 엄청 잘 맞아 떨어집니다. 가끔 (아니 현실에서는 대부분) 모형은 그럴 듯 해 .. 2021. 12. 27.
(R)제29강(02)_시계열 데이터 만들기 벡터를 이용하여 시계열 데이터를 직접 만들어 보자. 시계열 데이터를 만들 때에는 ts(time series) 객체를 이용한다. #=== 3. 시계열분석 데이터 만들기 - ts() # (1) ts() 함수 사용 vect01 2021. 12. 27.
(R)제29(02)_시계열분석 실습(R로 해 보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가 있습니다. 그냥(?) 60개의 데이터입니다. 이것은 그냥 단순한 60개의 데이터입니다. 향후 10개의 데이터를 예측해 보기로 합니다. 그런데 60개이니까, 혹시 12개월 5년 치 데이터가 아닐까? 하며 월별 데이터로도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그럴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아무런 의미도 없는 그냥 단순한 데이터인데, 뜬금없이 60개니까 월별(^) 데이터로 한정하는 것은 때로는 잘못된 경우가 되기도 합니다. 644 546 515 506 468 729 719 626 677 679 654 630 662 539 419 592 376 390 292 340 457 254 368 376 254 85 198 212 262 368 554 538 478 623 522 404 360 61.. 2021. 12. 27.
s_18_03_통계적 분석기법 14 가지 소개 SAS에서 통계분석을 지원하는 SAS/STAT에서 다룰 수 있는 통계적 기법에 대하여 개괄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https://youtu.be/S5gP1LI-YSU ① 카이제곱검정(χ2 검정)χ2(카이제곱이라 읽습니다) 검정은) 명목 변인들 간의 상호 관련성 여부에 관해 검정을 행하는 통계기법입니다. 일반 설문조사의 90 % 이상이 χ2-검정 적용을 필요로 합니다.예를 들면 “남녀별 취미생활에 대한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할 때 사용되는 기법이 카이제곱검정입니다. 성별과 취미생활은 평균값을 구할 수 없는 명목 척도입니다.. 성별, 취미생활이 둘 다 명목 변인이므로 카이제곱검정을 적용합니다. SAS 프로시져로 PROC FREQ/CHISQ를 사용합니다. R에서는 chisq.test( ) 함수를 사.. 2021. 12. 17.
(S)제29강(01)시계열분석 실습 - SAS ,R 29일 시계열분석 실습의 SAS 버전과 R 버전입니다. R의 결과와 SAS 결과가 다르게 나올 수 있습니다. 이것은 R과 SAS 중 어느 것 맞느냐? 틀리냐? 문제가 아니라 ARIMA 모형을 추정할 때 적용되는 추정방법에 따라 결과가 (당연히) 다르게 나옵니다. SAS 내에서도 추정방법에 따라 여러가지 결과가 나옵니다. R은 무료이지만 SAS는 유료이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가 사용하기 불편한 점이 있습니다. SAS OnDemand for Academics(줄여서 SAS-ODA) 이라는클라우드 무료버전이 있는데 SAS-ODA 를 사용했습니다. 다음과 같은 데이터가 있습니다. 그냥(?) 60개의 데이터입니다. 이것은 그냥 단순한 60개의 데이터입니다. 향후 10개의 데이터를 예측해 보기로 합니다. 644 54.. 2021. 11.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