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cipal component analysis2 (S)제25강(00)_주성분분석 목차 25.1 주성분분석이란? 25.2 주성분분석 실습 25.3 주성분분석의 이론적 배경 25.3.1 선형결합과 설명력 25.3.2 제1 주성분과 제2 주성분 25.3.3 고유치(Eigenvalue) 25.4 주성분 구하는 공식 25.5 주성분 점수 구하기 25.6 주성분 개수의 결정 25.7 상관행렬을 이용한 주성분분석 25.7.1 상관행렬을 구하고 분석하기 25.7.2 상관행렬 직접 이용하기 25.8 분석결과를 데이터셋으로 저장하기 25.9 주성분분석 예제 – USArrests 데이터 25.10 PROC PRINCOMP의 형태 25.11 R 프로그램 – 주성분분석 2021. 12. 24. (S)제25강(01)_주성분분석이란? 주성분 분석이란? 1933년 Hotelling은 p개의 변수를 p보다 적은 개수의 상호 독립적인 변수로 나타내는 방법을 개발 이 적은 갯수의 독립적인 변수를 주성분이라고 합니다. 주성분 분석이란 여러 변수들의 변량을 주성분 이라 불리는 보다 적은 수의 변수로 요약하고자 하는 기법입니다. 일반적으로 어떤 현상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할 때에는 우선 관련된 여러 변수들을 조사하게 됩니다. 변수의 수가 많아질수록 모든 변수를 고려한 분석은 상당히 어렵게 됩니다. 그리하여 이 변수들을 간단하게 보다 적은 개수의 변수로 나타낼 수만 있으면 분석하거나 해석하는데 편리할 것입니다. 이런 작업을 차원축소(Dimension Reduction)라고 하고 이런 작업을 하는 것이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 2021. 12. 2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