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연습 200제/02_00. (R)데이터객체,벡터,행렬13

(R1)제03강(3.2) 행렬 연산 하기 - 행렬 +/-, 기술통계량, apply 사용하기 1. 행렬 더하기, 빼기 등 m1 2020. 7. 25.
(R1)제03강(3.1) 행렬 다루기 - 행렬 만들기, 속성 살펴보기, 요소 접근하기 이번에는 행렬이라는 데이터 객체에 대하여 살펴봅니다. 행렬은 고등학교나 대학교에서 선형대수학 등 수학에서 다루었던 기억이 있을 것입니다. 이렇게 수학에서 사용되면서 일반인들에게 다소 생소한 행렬이 R에서는 데이터의 기본 객체 형태로 사용됩니다. 행렬은 행과 열로 구성된 사각형태의 데이터로 2차원적인 구조를 가집니다. 행렬은 행과 열의 개수, 행과 열의 이름을 속성으로 가지고 있습니다. 앞서 설명한 벡터 여러 개를 행 또는 열로 구성하면 행렬이 됩니다. 행렬은 만드는 방법은 2 가지가 있습니다. 벡터 여러 개를 이용하여 행 또는 열결합하여 만드는 방법과 하나의 벡터를 이용하여 행렬구조로 바꾸는 것입니다. 행렬을 만드는 방법으로 matrix( ) 함수를 이용하거나 다른 데이터 객체에 as.matrix( ) .. 2020. 7. 25.
(R1)제03강(2.2) 벡터의 연산 – 더하기, 빼기 두 개의 벡터를 더하거나 빼거나 곱하기 > vec01 v100 vec01+3 # 벡터의 각 요소에 3을 더하기 > vec01*3 # 벡터의 각 요소에 3을 곱하기 > vec01+v100 # 두 벡터 더하기 > vec01-v100 # 두 벡터 빼기 > vec01*v100 # 두 벡터 곱하기 > vec01/v100 # 두 벡터 나누기 ※ 벡터의 차수가 다른 경우 > v400 v3 v3 벡터의 통계량 구하기 벡터에 대하여 각종 함수를 이용하여 통계량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벡터에 사용되는 함수는 행렬과 배열 등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빈값을 나타내는 mode 는 벡터의 속성을 구하는 함수로 사용되며, 최빈값을 구할 수 없습니다. 함수명 기능 sum(vec01) 합계구하기 mean(vec01) 평균구하기 ve.. 2020. 7. 25.
(R1)제03강(1.3) 벡터의 요소에 접근하기 1. 벡터의 요소에 접근하기 vec01 vec01[-3] [1] 12 27 41 57 ● 원소의 범위를 제외하기 > vec01[-(2:3)] [1] 12 41 57 ● 벡터의 원소에 값을 할당하기 > vec01 vec01[3] vec01 > vec01[7] vec01 요소이름으로 요소 접근하기 ● 벡터에 이름 붙이기 > vec01 names(vec01) vec01 one two three four five 12 27 33 41 57 ● 이름으로 벡터의 요소 접근하기 > vec01["three"] three 33 vec01[c("tue","thu")] ● 벡터의 이름 취소하기 names(vec01) vect01 vect02 c(vect01,vect02) [1] 1 2 3 4 5 10 20 30 40 50 .. 2020. 7. 25.
(R1)제03강(2.2) 벡터 다루기 R 에서 다루는 데이터 객체 중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벡터입니다. 벡터란 단어가 익숙하지 않겠지만, 그냥 숫자열이나 문자열이라고 간단하게 생각하면 됩니다. 벡터다루기에서는 벡터를 만들고, 속성살펴보기, 벡터를 결합하기, 벡터의 요소에 접근하기, 벡터의 연산, 통계분석하기 순서대로 설명합니다. 1. 벡터 만들기 벡터를 만드는 명령어로는 ① c ② seq ③ rep 가 있습니다. (1) c 함수를 이용하기 벡터를 만드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c( ) 함수를 이용하는 것인데 Concatenate 또는 Combine 의 약어입니다. 연속적인 원소로 구성된 벡터를 만들고자 할 때에는 : 연산자를 이용하면 편리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 원소가 숫자형인 경우 > c(1,2,3,4,5,6,7,8,9,10) # .. 2020. 7. 25.
제4강 4.0 데이터객체(2) 목차 - 데이터프레임, 리스트, 팩터(factor) 데이터프레임 만들기    data.frame( ) 함수 이용하기  as.data.frame( ) 함수 이용하기        - 벡터에서 데이터프레임 만들기    데이터프레임의 속성 살펴보기데이터프레임 요소 접근하기     위치번호로 요소 접근하기  변수명으로 요소 접근하기   새로운 변수를 만들기   데이터 추출하기와 합치기   데이터프레임 통계분석     기술통계량 구하기  통계분석기법       t 검정 실행하기      상관계수 구하기      회귀분석 하기리스트 다루기   리스트 만들기와 요소 접근하기    회귀분석 결과 재이용하기  데이터 객체의 기타 논제  팩터(factor) 다루기    데이터 객체 변경하기   데이터 객체 유지하기 – drop=F 2020. 7.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