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학 공부할 때, 검은 공, 흰공 공부는 그만...
고등학교 시절 "순열", "조합"을 공부한 적이 있는데, 공부를 하면 이해가 되다가도 정작 문제를 풀면 이게 맞는지 저게 맞는지 헷갈리곤 했습니다. 대학 시절, 과외알바를 한 적이 있는데, 순열, 조합 부분을 가르칠 때에는 꼭 예습을 했고, 미리 문제를 풀어 보고 갔습니다. 해답을 보기 전에는 헷갈리기 때문이었습니다. 빅데이터 시대를 맞이하여 통계학을 공부하려는 사람들이 많은데 통계학 책 중에서, "검은 공이 5개 있고, 흰공이 3 개 있는데 여기에서 검은 공을 2개, 흰 공을 2개 꺼집어 낼 확률을 구하라..." "공을 꺼집어 낼 때, 다시 주머니에 넣을 때(with replacement)와 주머니에 다시 넣지 않을 때" "순서가 있으니 어쩌고, 순서가 없으니 저쩌고.." 너무 신경 쓰지 말고... 건..
2020. 7. 10.
R 강의를 들을 때, 통계학을 얼마나 알아야 하나요? (질문)
취업준비생 대상으로 강의를 할 때, 질문한 내용입니다. (취준생 대상 강의는 3개월, 어떤 경우에는 6개월 코스도 있습니다.) 이런 과정에는 IT의 전반적인 것을 배우게 됩니다. 파이썬도 배우고, DBMS/SQL, R(R은 R언어와 통계학) 강의 중 쉬는 시간에 "통계학을 잘 모르는데, R강의를 따라 갈 수 있을까요?" 하는 질문을 받는 적이 간혹 있습니다. "나의 강의는 평균, 분산, 정규분포 정도만 알면 됩니다." "평균(Mean)"이야 초등학교 때부터 아는 것이고, "분산(Variance)"도 중학교 정도면 알 것이고, "정규분포"는 고등학교 때 들은 것일 테고... 이 정도만 알면, 내가 강의하는 것을 따라올 수 있다고 합니다. 이 중에서 분산(variance)은 (변수의 값들-평균값)을 구하고 ..
2020. 7. 8.